수요에스라강단
확장변수1 |
---|
교회 생활에서 특별한 행복을 누리는 사람
사도행전 6:1~7
기독교 역사상 맨 처음 교회가 생겨난 당시는 사회 전반에 빈곤이 가득했습니다. 교회에 새로 나오는 신자들은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교회에 많이 나오다 보니 교회의 재정이 넉넉할 때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교회는 있는 힘을 다해서 가난한 교인들을 도왔습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은 과부들이었습니다.
초대 예루살렘 교회 교인들 중에 두 부류가 있었습니다. 하나는 히브리파이었고 하나는 헬라파였습니다. 히브리파, 헬라파 두 파에 각각 과부들이 있었는데 헬라파에 있는 과부들이 자주 구제에 빠지는 일이 생겼습니다. 이런 일 때문에 헬라파 교인들이 불평하기 시작했습니다. 교회에 원망의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고 교인 간에 갈등이 생겼습니다.
당시 예루살렘 교회는 열두 사도들 이외에 다른 지도자들이 없었으므로 구제의 일도 사도들이 했습니다. 즉 예루살렘 교회에 생긴 갈등의 책임이 열두 사도들에게 있었다는 말입니다. 참으로 다행인 것은 사도들이 그 문제를 알고 곧바로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맨 처음 교회에 생긴 조직이 집사제도입니다.
이 일로 선출된 예루살렘 교회의 일곱 ‘집사’들이 어떤 일을 했는지 성경은 잘 보여주십니다. 그들은 교회 재정 출납하는 일들만 감당한 것이 아니라 복음을 전하고 선교하는데 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복음 전할 때가 있으면 어디든지 쫓아갔습니다. 멀리 사마리아 그리고 요즘 가자라고 부르는 이스라엘 서쪽의 가사까지 가서 복음을 전했습니다. 자기를 돌아보지 않고 복음을 전하다가 심지어는 순교까지 당했습니다. 초대 예루살렘 교회에서 맨 처음 순교한 사람은 사도가 아니라 집사였습니다.
오늘 본문의 이 짧은 내용을 통해서 하나님께서는 오늘날의 신자들에게 교회에 대해서 대단히 중요한 것을 말씀하십니다.
첫 번째 말씀하시는 것은 교회에는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독교 역사상 가장 바람직하고 가장 아름다운 교회인 초대교회에 문제와 갈등이 있었다면 이후의 교회에도 당연히 문제와 갈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우선 말씀하십니다.
두 번째, 하나님께서는, 교회에 문제가 있을 때 그 문제는 교회의 지도자들이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따라서 교회의 지도자들 모두가 잘 알아야 할 것은 교회에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고 갈등을 풀어나가야 하는 일은 교회지도자들의 책임이라는 사실입니다.
세 번째, 교회의 지도자들은 자기의 한계를 알아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종들뿐만 아니라 교회의 구성원들 모두 그것을 잘 알아야 합니다. 인간은 한계가 있는 존재다, 따라서 하나님의 종을 비롯한 지도자의 직분을 가진 사람들 모두가 한계가 있는 존재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모두가 기억할 것은 하나님께서 그것을 아시면서 지도자들을 세우셨다는 사실입니다.
네 번째, 목회자들에게는 주된 사역이 따로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에 전념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참된 하나님의 사람은 자신에게 주되게 맡겨진 사역이 무엇인지 알고 그 어떤 것보다도 그 일에 힘쓰고 전념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일반 성도들은 목회자들에게는 하나님께서 따로 특별하게 맡기신 일이 있다는 것을 알고 목회자들이 그 일에 전념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마태복음 11장에서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세례요한에 대해서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너희가 무엇을 보려고 광야에 나갔더냐?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냐? 그러면 너희가 무엇을 보려고 나갔더냐? 부드러운 옷 입은 사람이냐? 부드러운 옷을 입은 사람들은 왕궁에 있느니라. 그러면 너희가 어찌하여 나갔더냐? 선지자를 보기 위함이었더냐? 옳다,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선지자보다 더 나은 자니라’(마 11:7-9)
사실 세례요한이 특별하게 잘한 것은 없었습니다. 회개하라는 말씀만 외치고 헤롯 왕에 대해서 싫은 소리를 하다가 잡혀가서 목이 잘려서 죽고 말았습니다. 그 세례요한을 두고 예수님께서 ‘최고의 하나님의 종’이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것으로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은 하나님의 종이 잘 해야 할 것은 이것저것 멋있게 잘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종노릇을 충성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참된 하나님의 종은, 사람들 보기에 대단한 사람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인기 있고 칭찬받는 사람들이 아니라 세례요한과 같이 우직하게 하나님께 충성하는 사람들이라는 말씀입니다. 이런 사람이 참된 하나님의 종이고 최고의 목회자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의 종을 비롯한 교회의 지도자들 모두가 한계가 있는 존재들입니다.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내가 세운 종들이 모자라는 사람일 수 있다, 실수할 수 있다, 잘못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진짜 괜찮은 교인과 ‘아닌 교인’들이 결정됩니다. 하나님의 종에게 잘못한 것이 보이고 허물이 보이고 한계가 보일 때 못난 교인들은 꼭 티가 납니다. 그것을 보면 대단한 기회를 잡은 것처럼 여기저기 떠들고 다니면서 비난하고 비판합니다. 그러나 제대로 된 교인들은 다릅니다. 비판하지 않습니다. 비난하지 않습니다. 그것을 덮어주고 부족한 것을 내가 채우려고 합니다. 오늘 내가 이 교회에 있게 된 것은 이 일을 하라고 하나님께서 보내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채워나가려고 합니다.
노아가 홍수 후에 큰 실수를 했습니다. 과음을 했는데 심하게 마셔서 나체를 드러내고 정신없이 잠에 빠졌습니다. 노아에게는 아들 셋이 있었는데 그중 가나안이 아버지의 그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 모습을 본 가나안이 밖에 나가서 다른 두 형제에게 떠들어댔습니다. 그 소리를 들은 다른 두 형제는 덮을 것을 가지고 아버지에게 갔습니다. 자칫 아버지의 그 모습을 볼까 봐 두 사람이 뒤로 걸어가서 아버지의 벗은 몸을 덮어드렸습니다. 이 일 때문에 가나안은 저주를 받고 두 형제는 축복을 받았습니다.
교회에 행복한 신자들이 또한 이렇습니다. 하나님의 종에게 허물이나 부족한 것, 잘못한 것이 있으면 또 교회에 문제가 있는 것을 보면 비난하지 않고 비판하거나 떠들지 않습니다. 내가 그 부족, 그 문제를 채워서 어떻게 하든지 교회를 좋게 만들어 가려고 합니다.
놀라운 것은 그렇게 교회와 교회지도자들을 이해하고 내가 교회를 위해서 무엇을 할까 생각하는 사람은 자기가 먼저 행복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도 행복하고 결과도 물론 행복합니다. 참으로 신비로운 것은 그런 사람들은 모든 것이 잘 됩니다. 하나님께서 그런 사람들을 잘되게 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사랑하고 ‘자기로’ 그리스도의 몸을 채워나가는 사람들에게 하나님께서 복을 안 주실 리가 없습니다. 신자의 행복은 여기에 있습니다. 특히 신자는 자기의 행복을 자기가 만듭니다. ♥
[생각해 봅시다]
1. 초대교회의 집사제도는 교회 갈등을 해결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교회안에서 갈등이 있을때, 나는 어떤 도움을 주고 있나요?
2. 세례요한은 주님께 충성하여 최고의 칭찬을 받습니다. 나는 주님께 충성하는지, 사람의 인기에 편승하는지 생각해봅시다.
3. 노아의 아들들 중에서, 가나안과 다른 두 형제는 태도가 달랐습니다. 나는 어떤 태도로 살아가는 신자인지 나누어봅시다.
댓글